버블정렬
-
2. 정렬 - (1)자료구조/자료구조 기초 2024. 10. 8. 15:08
1. 선택정렬 선택정렬은 정렬되지 않은 데이터들에 대해 가장 큰(작은) 데이터를 찾아 가장 뒤(앞)의 데이터와 교환해나가는 방식이다. 선택 정렬의 순서는 아래와 같다.1. 배열 A[1~n] 에서 가장 큰 원소를 찾아 맨 뒤로 이동시킨다.2. 맨 뒤의 원소는 가장 큰 원소로 채워지므로 더이상 신경쓰지 않는다.3. 맨 뒤에서 하나씩 앞으로 이동하면서 같은 작업을 반복한다. 선택 정렬의 파이썬 코드를 확인하고 시간복잡도를 구해보면 아래와 같다. 위와 같이, 배열 A[1...n] 에서 n-1회 반복해하며, 이때 가장 큰 수를 찾는 과정도 배열의 길이 만큼 탐색을 해야하므로 n-1회 반복되야 한다.그러므로, 이를 계산하면 O(n^2)의 시간복잡도를 가지게 된다. 2. 버블정렬 버블 정렬은 선택정렬과 같이 가장 큰..